2025. 5. 29. 11:07ㆍ카테고리 없음
에어프라이어 매일 쓰긴 하는데 청소는 미루고 계셨죠?
지금부터 알려드릴 방법만 잘 따라오면,
여러분의 에어프라이어는 다시 '새것'처럼 변신합니다!
목차
1. 전원 차단과 완전한 냉각 확인
에어프라이어 청소는 '식히기'부터 시작입니다.
작동 직후 내부 온도는 200도 이상!
화상이나 유해 증기를 피하려면,
코드를 뽑고 1시간 이상 완전히 식혀야 안전합니다.
식히는 동안 바스켓과 팬을 분리해 준비하면 시간도 절약돼요.
2. 바스켓 세척: 따뜻한 물과 중성세제 활용
기름 찌든 바스켓은 에어프라이어 청소의 핵심입니다.
아래 방법으로 차근차근 세척해보세요.
단계 | 설명 |
---|---|
1 | 바스켓과 받침망을 분리해 따뜻한 물에 10분간 불리기 |
2 | 중성세제와 부드러운 스펀지로 기름 제거 |
3 | 칫솔이나 전용 솔로 틈새 닦기 → 물기 제거 |
주의! 철 수세미 절대 금지. 코팅 벗겨지면 오히려 청소가 더 힘들어져요.
3. 내부 팬과 열판 청소법
본체를 뒤집으면 열판과 팬이 보입니다.
기름 찌든 이 부분은 연기의 주범이니 아래 순서대로 부드럽게 닦아주세요.
- 극세사 천에 중성세제 희석액 적시기
- 코일 주변의 기름을 가볍게 문지르며 닦기
- 물 적신 천으로 세제 제거 → 마른 천으로 마무리
- 식초+물 1:1 혼합액 사용 시 탈취까지 효과적
주의! 코일은 직접 물로 닦으면 안 됩니다. 반드시 간접적으로 닦아야 해요.
4. 본체 외부 청소 시 주의사항
에어프라이어 본체에는 전자 회로가 들어 있으므로 물기가 가장 위험합니다.
아래 방법으로 안전하게 닦아주세요.
- 살짝 물 묻힌 천으로 본체 표면 부드럽게 닦기
- 버튼, 디스플레이는 순면으로 살살 닦기
- 전원단자, 배출구는 마른 솔이나 브러시로 먼지 제거
- 마무리는 반드시 마른 극세사 천으로 완전 건조
5. 베이킹소다와 식초 팩 활용법
눌어붙은 기름 자국은 천연 세척법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이에요.
자극 없는 베이킹소다+식초 팩을 활용해보세요.
단계 | 설명 |
---|---|
1 | 바닥에 베이킹소다 뿌리고 식초를 분무 |
2 | 거품 발생 후 10~15분 방치 |
3 | 부드러운 솔로 문질러 닦은 후 물기 제거 |
주의: 이 방법은 월 1~2회가 적당합니다. 너무 자주 하면 코팅 손상 위험!
6. 냄새 제거에는 레몬 스팀이 최고
조리 후 고기냄새나 기름냄새가 남았다면 레몬+식초 스팀법으로 탈취해보세요.
- 물 1컵 + 식초 2스푼 + 레몬 조각을 바스켓에 넣기
- 160도로 3~5분 가열 후 뚜껑 열고 30분 방치
- 냄새뿐 아니라 살균 효과까지 있어요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EC%97%90%EC%96%B4%ED%94%84%EB%9D%BC%EC%9D%B4%EC%96%B4+%EB%83%84%EC%83%88%EC%A0%9C%EA%B1%B0
www.youtube.com
자주 묻는 질문 (FAQ)
일부 모델은 가능하지만, 대부분 코팅 보호를 위해 손세척이 권장됩니다.
중성세제를 사용해야 하며, 염소계나 연마제가 들어간 제품은 피해야 코팅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물기가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며 간접적으로 닦아야 합니다. 심할 경우 서비스센터 문의를 권장합니다.
유해 성분이 발생할 수 있고 음식이 들러붙기 쉬워 교체를 추천드립니다.
즉시 사용 중단 후 2~3일 이상 건조 후 테스트하세요. 이상이 있으면 사용 금지입니다.
바스켓은 매번, 본체 내부는 주 1회, 열판은 월 1회 점검이 이상적입니다.
아니요. 조리실 내부엔 넣지 말고, 식초나 레몬 등 자연재료로만 탈취하세요.
세균 번식, 냄새, 오작동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완전 건조 후 보관하세요.
오늘 소개해드린 에어프라이어 청소법, 어떠셨나요?
생각보다 간단하죠?
저도 처음엔 번거롭다고 느꼈지만,
루틴을 만들고 나니 습관이 되더라고요.
깨끗한 에어프라이어 하나면 요리할 맛도 훨씬 좋아지고, 맛도 깔끔해져요.
혹시 다른 노하우가 있으시다면 댓글로 함께 공유해주세요.
우리 모두 청결한 주방 생활 만들어봐요!